시계열 스터디 썸네일형 리스트형 시계열 데이터 EDA (실전 시계열 분석 3장) *이 글은 실전 시계열 분석 책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시계열 데이터의 EDA 3장에서는 탐색적 자료 분석 즉 EDA 과정에 대해 다룬다. 데이터간 어떤 상관관계? 데이터의 평균과 분산은? 이를 확인하기 위해, 도표, 요약 통계, 히스토그램, 산점도 등을 '시간'과 함께 고려해야 한다. 히스토그램 히스토그램 Draw 시에 X축을 시간, Y축을 변수 정보로 그릴 수도 있으나, Y축에 이전 변수와의 차이를 매핑하는 방법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다. (R 코드에서 diff() 함수로 쉽게 구현 가능하다.) 산점도 시간의 흐름에 맞춰서 산점도를 mapping 하면 상관관계를 엿볼 수 있다. 두 주가 사이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산점도를 그냥, 차분해서 매핑 했을 때, 상관관계가 높아 보일 수 있.. 더보기 이전 1 다음